토익 시험은 대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까지 한 번쯤 들어봤을 만한 시험이다
따라서 3월 마지막 시험이 다가오고 있는 이 시기에 관련 내용을 담은 포스팅을 작성해보고자 한다.
토익시험이란?
TOEIC(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은 비원어민의 영어 실력을 측정하는 인기 있는 표준화 시험이다. 한국 토익 시험은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는 많은 토익 시험 중 하나로 달에 약 2번 시험이 열리며, 지난 1월과 2월을 포함해 남은 토익 시험으로는 올해 3월 26일, 4월 15일, 4월 30일, 5월 14일, 5월 28일, 6월 11일, 6월 25일, 7월 9일, 7월 30일, 8월 6일, 8월 20일, 8월 27일, 9월 10일, 9월 24일, 10월 14일, 10월 29일, 11월 12일, 11월 26일, 12월 10일, 12월 24일로 예정되어 있다. 토익 시험을 치를 계획이라면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철저한 준비가 필수적이다. 3월 26일 시험에 경우 이미 신청 기간이 마감되어 신청할 수는 없다. 바로 다음 시험인 4월 15일 시험의 신청 기간은 2월 27부터 4월 3일까지이며, 추가 접수 기간까지 포함하면 4월 12일까지 신청할 수 있다. 추가 접수 기간에 신청가게 된다면 정기 기간에 신청할 때와 비교할 때 가격과 고사장 선택에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준비물
준비물로는 크게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과 같은 규정 신분증과 연필(볼펜 및 사인펜은 사용 불가), 지우개, 아날로그 손목시계(전자식 시계 불가) 등이 있다. 시계 같은 경우에는 고사장 내 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걱정을 많이 할 필요는 없으며 혹여나 준비를 못했다 하더라도 시간 확인을 못한다는 점 빼곤 시험에 큰 지장은 없다. 규정 신분증의 경우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TOEIC® 공식 사이트
전 세계 160개 이상 국가, 14,000여 개의 기관 및 업체에서 채용, 승진, 해외파견 등에 활용하는 글로벌 시험
exam.toeic.co.kr
시험 보기 전 꿀팁
시험 보기 전 꿀팁은 사실 당연한거지만 시험 형식에 익숙해져야 된다. TOEIC 시험은 듣기와 읽기의 두 섹션으로 구성되는데 듣기 부분은 구어체 영어를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반면 읽기 부분은 문어체 영어를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다음으로는 연습을 많이 해야 된다. TOEIC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정기적으로 연습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시험 형식에 익숙해지고 자신감을 키울 수 있어진다. 그리고 자신의 약점을 개선해야 된다. 시간을 내어 자신의 약점을 파악하고 개선해 보자. 예를 들어, 듣기 섹션이 어렵다면 영어 노래, 영화, 팟캐스트 듣기를 연습하여 이해력을 향상해 보자. 마지막으로 모의시험 보며 시험을 대비해야 한다.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모의시험을 치러보자. 온라인 또는 교과서에서 TOEIC 모의시험을 찾을 수 있다.
시험 보기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시험 전날 밤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여 시험 중에 정신을 차리고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시험장에 비교적 일찍 도착해야 한다. 시험 센터에 일찍 도착하여 막판에 서두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또한 긴장을 풀고 정신적으로 시험을 준비할 시간을 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에 설명한 준비물을 빠짐없이 지참하였는지 집을 나서기 전 다시 한번 확인한다. 시험을 볼 땐 각 과목마다 시간 관리를 철저히 해서 시간 부족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 각 섹션에 충분한 시간을 할당하고 모든 질문에 답해야 된다.
결론적으로 토익 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와 주의가 필요하다. 시험 중에는 침착하고 자신감 있게 집중하는 것을 잊지 말자.
'경제 > 뉴스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건강보험, 의료 보험 납부, 알바 퇴사 후 납부자 명의 이전 방법 (0) | 2023.04.04 |
---|---|
미국 기준금리 2.5% 베이비스텝 인상, 5% 금리 시대 돌입 (0) | 2023.03.23 |
취약층 생계비 대출 상품, 최대 100만원, 연이자 15.9%..? (0) | 2023.03.22 |
예금보호 한도 1억원으로 상향 추진, 장점과 단점은? (0) | 2023.03.21 |
당근마켓 사기 주의, 예방법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