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 BPS, 현금 DPS에 대해 공부해보자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EPS와 BPS, 그리고 현금 DPS라는 용어들에 대해 작성해보겠다
EPS (주당순이익)
EPS는 주당 순이익을 의미하는 용어로 부채나 다른 이것저것 비용들을 다 제외한 순수한 기업의 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하는 용어다. 즉 식으로 나타내자면 당기순이익 / 주식 수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년도 또는 이번 분기 EPS가 높다는 것은 이번 년도 또는 이번 분기의 기업의 이익이 높았다는 의미가 된다.
BPS (주당 순자산)
주당 순자산이란 기업이 더 이상 운영을 할 수 없는 경우 주주들에게 나눠줄 수 있는 1주 당의 가치를 의미한다. 즉 식으로 나타내면 (자산 - 부채) / 주식 수가 되며, BPS를 퍼센트(%)로 나타낸 것이 PBR(주가순자산비율)이다.
PBR(주가순자산비율)에 관한 내용을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ROE, PER, PBR 뜻 알아보기
ROE, PER, PBR 주식용어에 대해 공부해보자 주식에는 여러가지 용어들이 있다. 이와 같은 것들은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 또한 여러개 있는데 오늘은 그 중에서 ROE, PER, PBR에 대해 작성해보겠다 P
2conomics.tistory.com
현금DPS
현금DPS는 1주당 배당금을 의미하는 용어로 Dividends per share의 약자이다. 즉 현금DPS는 기업의 한해 이익에 따라서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배당금을 의미하며 이는 1년단위로 나타내게 된다. 삼성전자의 경우 22년 작년 1년동안 주주들에게 1년동안 1521원의 배당, 즉 이를 분기별로 나눠보면 1주당 약 500원의 배당을 지급했다는 것을 확인 해볼수 있다.
더하여 주주들에게 배당을 하지 않는 기업들도 많이 있는데, 예를들어 대한항공의 같은 경우 현금 DPS가 적혀있어야 할 부분이 비어있다는 것을 확인 해볼수 있다.
'경제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목균형표, 주식 매물대 뜻 (0) | 2023.03.19 |
---|---|
주식 이동평균선, 볼린저밴드 뜻 (0) | 2023.02.19 |
FOMC 일정, 뜻 알아보기 (0) | 2023.02.19 |
신규 COFIX 6개월 알아보기 (0) | 2023.02.16 |
ROE, PER, PBR 뜻 알아보기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