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ROE, PER, PBR 뜻 알아보기

by 알쓸경제 2023. 2. 15.
반응형

ROE, PER, PBR 주식용어에 대해 공부해보자

 

 

 

주식에는 여러가지 용어들이 있다. 이와 같은 것들은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 또한 여러개 있는데 오늘은 그 중에서 ROE, PER, PBR에 대해 작성해보겠다

 

 


 

PER (주가수익비율)

 

PER은 주가수익비율을 뜻하는 용어로 주식가격을 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이다. 만약 주당 순이익이 10만원인 회사의 주식가격이 10만원이라면 그 회사의 PER는 1이다. (10/10=1). 주식 트레이드를 할때 PER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곤 하는데 바로 PER가 그 회사의 주가가 거품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주당 순이익보다 주가의 가격이 높다면, 즉 PER가 10, 20, 30 이런식으로 높은 숫자를 나타내고 있다면 이 회사의 주식은 주당 순이익보다 더 높은 가격의 주가를 형성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고평가를 받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에 상승 여력이 아무래도 적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렇다고 PER가 낮은 종목들이 무조건 좋은것도 아니다. 따라서 자신의 판단과 원칙을 바탕으로 투자를 실행해야한다.

 

PBR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주식가격을 주당 순자산(BPS)으로 나눈 값으로 주식가격이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 몇%정도인지를 알 수 있는 용어이다. 만약 주당 순자산 10만원인 회사의 주가가 10만원이라면 PBR은 1이 된다 (10/10=1). 따라서 PBR이 낮다면 이 회사의 주가는 저평가 되어있다는 의미가 된다. 다만 이 같은 경우에도 PER과 같이 절대적인것은 없으니 다른 지표들을 잘 비교해봐야 한다.

 

반응형

 

ROE (자기자본이익률)

ROE는 당기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주주들이 투자한 돈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남겼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이다. ROE가 높은 회사라면 수익성이 좋은 회사로 의미된다. 다만 ROE의 경우 기업이 돈을 많이 빌려서 수익이 높아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부채 비율도 같이 보면 좋다.

 

아래 재무재표는 네이버 증권에서 가져온 삼성전자의 재무재표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2년 4분기 PER은 10.29, PBR은 1.14가 나왔다. 이는 단순계산으로 삼성전자의 주가가 현재 주당 순이익보다 약 10배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는 의미가 되며, 회사의 순자산은 주가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것을 확인 해 볼수 있다. 더하여 ROE는 22년 4분기 11.67로 꾸준한 수익을 보여줬다는 사실을 확인해 볼수 있다

 

 

'경제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목균형표, 주식 매물대 뜻  (0) 2023.03.19
주식 이동평균선, 볼린저밴드 뜻  (0) 2023.02.19
FOMC 일정, 뜻 알아보기  (0) 2023.02.19
신규 COFIX 6개월 알아보기  (0) 2023.02.16
EPS, BPS 현금DPS 뜻 알아보기  (0) 2023.02.16